주식을 하는 이유는 위 사진 한 장으로
표현이 될 것 같습니다.
다 같이 부자 됩시다!! ^^
고민 고민하지 마~
요즘
"어떻게 하면 월 현금흐름을 좋게 만들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을 자주 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내년 하반기에 아파트 입주를 기다리고 있어서입니다.
아무래도 2억 원 정도의 대출이 필요한 상황이라..
월 100만 원 정도는 꾸준히 나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것 같습니다.
그러면 제가 저축이 불가능한 상황이 됩니다. 흙흙...
현재 월 저축을 딱 100만 원씩 하고 있는데
이 금액이 모두 아파트로 투입이 되면
부동산을 제외한 제 금융 자산은
제자리걸음이 될 테니깐요.
그래서 금융자산에서 현금이 창출되는
그런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레버리지를 활용해 볼까?
제가 이전에 쓴 QYLD라는 ETF가 있습니다.
QYLD 최초 매수
주식을 하는 이유는 위 사진 한장으로 표현이 될 것 같습니다. 다같이 부자됩시다요!! ^^ [배당모아유럽가자/주식공부] - 커버드콜이란? - 미국주식에 자금을 투자하는 이유 - 미국주식에 자금을 투입하기 시작한..
divide-nd.tistory.com
배당률이 10%가 넘는 ETF죠.
현재 분배금은 11.52%입니다.
15%의 세금을 제외한다고 해도
무려 9.79%입니다.
1000만 원 넣어놓으면
97만 원을 분배금으로 준다는 뜻입니다.
5% 대출을 받아서 넣어놓으면
50만 원의 이자를 제외하고
47만 원의 이익이 창출됩니다.
그래서 엑셀 좀 돌려봤습니다.
대출 이자나 상환계획은
카카오 뱅크 신용대출을 참고했습니다.
(이자에 대한 부분은 개인별로 상이하니
주의하여 참고하세요.)
위에는 원금 균등분할상환,
아래에는 원리금 균등분할상환입니다.
주당 금액은 22.5
분배금액은 제일 낮았던 0.1달러와
제일 높았던 0.26달러의 중간값으로 잡았습니다.
(0.18인데 0.17 잡았습니다.)
둘 다 5.4%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예상되네요.
별 차이는 없어 보입니다.
월급이 일정한 월급쟁이에게는
원리금 균등분할상환이 관리하기 편해 보입니다.
QYLD는 매월 20~말일 기준으로 분배락을 실시하고
매월 2~5일 분배금을 지급하기에
대출이자지급이 월 초에 이루어지도록
월 초에 레버리지를 일으키는 게
현금흐름에 좀 더 수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리스크는 무엇이 있을까?
모든 투자에는 리스크 최소한으로 하고
관리하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럼 제가 계획한 투자 방법에는 어떤 리스크가 있을까요?
1. 달러 환율의 변동성
2017년 1월 이후 최고 가격입니다.
현재보다 달러의 가치가 하락할 경우
제가 매도를 하고 원화로 바꾸기 위해서는
손해를 감소해야 됩니다.
하지만 저는 현금을 창출하는 배당 나무를
잘라버릴 생각이 없습니다.
제가 죽을 때까지 꾸준히
매월마다 저에게 달러를 상납해 줄
나무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은퇴하기 전에는 매도하지 않을 계획인 저에게는
큰 리스크가 될 것 같지 않습니다.
2. 우하향 중인 QYLD 가격
QYLD ETF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고
커버드콜 매도 옵션을 걸고 있습니다.
[배당모아유럽가자/주식공부] - QYLD를 통해 알게 된 커버드콜.
QYLD를 통해 알게된 커버드콜.
주식을 하는 이유는 위 사진 한장으로 표현이 될 것 같습니다. 다같이 부자됩시다요!! ^^ - 커버드콜이란? - QYLD ETF는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며 커버드 콜 전략을 취하고 있다. QYLD ETF는 적은 변동률과 높은..
divide-nd.tistory.com
커버드 콜에 대해서는 위 글에 좀 더 자세히 적어놓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우상향 하기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제 원금을 깎아먹는 결과를 가져올 가망성이 큽니다.
이 또한 은퇴가 30년이 넘게 남은 제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네요.
72의 법칙을 알고 계신다면
이해가 좀 더 빠르실 것 같습니다.
72에서 이자율을 빼면
원금을 2배로 만들 수 있는 시간이 나옵니다.
첫 해의 이익창출이 5.4% 일뿐
2년 차에는 세금 제외하고 약 9%의
이익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8년의 시간이 걸리겠네요.
은퇴가 약 31년 남았으므로 이 또한
가볍게 PASS!!
3. 상장 폐지
와우. 생각하기 싫네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망하면.. 이미 한국도 없을 듯싶네요..
결론
현재 100만 원을 저축을 하고 있는데
15만 원은 개인연금
35만 원은 한국 주식
50만 원은 미국 주식
에 자금을 분산 저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파트 입주 전까지
레버리지를 활용해 볼 생각입니다.
어쩌면... 제가 신용대출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 것 같아서입니다.
6월 초 대출 실행 후
6월 20일까지 분할 매수를 실시하면
7월 2일부터 분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0년 7월까지 1년 동안 원금과 함께 갚아나가며
1000만 원 레버리지를 일으킨 자금으로 QYLD를 매수하고
이자로 받는 금액과 매월 용돈에서 남는 돈으로 꾸준히 추가 매수해서
1년 뒤 어떤 결과가 되어 있을지 궁금합니다.
제가 TEST 해보고 결과와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보겠습니다.
아직 젊은 것이 무기라면 무기일 것 같습니다.
아잡!
응원해 주세요!
절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개인 기록일 뿐이니, 충분한 검토 후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배당 모아 유럽에서 만나요!
뿅
'배당모아유럽가자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증권 주식 재무재표 파헤치기 (0) | 2022.03.05 |
---|---|
네이버증권 주식 재무재표 파헤치기 (0) | 2022.03.03 |
QYLD를 통해 알게 된 커버드콜. (0) | 2021.04.13 |
ROE와 혼동되는 ROA (0) | 2019.04.29 |
기업은 결국 수익을 내기 위해 존재하는 것. ROE를 공부해보자. (0) | 2019.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