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당모아유럽가자/주식공부

ROE와 혼동되는 ROA

by 알빠진조단 2019. 4. 29.

배당모아유럽가자 - 삼성전자

 

주식을 하는 이유는 위 사진 한장으로

표현이 될 것 같습니다.

다같이 부자됩시다요!! ^^

 

 

저번시간에는 ROE에 대해 공부해 봤습니다.

 

https://divide-nd.tistory.com/7

 

재무재표공부하기 - ROE

주식을 하는 이유는 위 사진 한장으로 표현이 될 것 같습니다. 다같이 부자됩시다요!! ^^ 요즘 주식 공부를 위해 재무재표 보는 법을 하나씩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관심있는 기업을 골라 저만의 제무제..

divide-nd.tistory.com

이번에는 ROA에 대해 공부해 봤습니다.

 

 

ROA - Return On Assets. 의 약자로

한국말로 총자산순이익률입니다.

구하는 공식은 이익/총자산 입니다.

 

하아.. 영어.. 중학교 이후로 영어에서 손을 놨는데,

관속까지 쫓아올 기세네요.

Assets의 뜻은 자산(資産) 입니다.

 

Naver에서 찾아본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총자산순이익률

ROA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 가늠하는 지표이다.

 

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했느냐를 나타낸다.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특정 금융기관이

총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하며,

 

금융기관이 보유자산을 대출, 유가증권 등을 운용해

실질적으로 얼마만큼의 순익을 창출했는지를 가리킨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우선 자본과 자산의 차이를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림으로 간단히 이해가 되죠잉

 

배당모아유럽가자 - 자산 = 자본 + 부채

 

여기서 ROA는 자산을 가지고 계산을 합니다.

즉, 순수자기자본을 가지고 계산을 하면 ROE가 되는 것이고,

순수자기자본에 부채를 더한 자산을 가지고

계산을 하게 되면 ROA가 된다는 것입니다.

 

ROE와 ROA가 비슷하다 보니 많이 혼동했습니다만,

직접 계산을 하면서 공부를 하니

더이상 혼동되는 일이 없네요.

 

 

여기서 알기 쉽게 부동산에 빗대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배당모아유럽가자 - 집도사자

청약통장에 당첨되어 3억짜리 아파트 분양권에

계약이 된 상태라고 가정해 봅시다.

(사실이었으면 하네요.하하하하)

만약 계약금과 중도금으로 1억 2천만원을 납부한 상태로

올 10월달에 입주를 해야 됩니다.

 

그러면 1억 8천을 대출을 받아야겠죠?

왜냐고요?

 

돈이 없거든요..

흙흙흙.

 

그런데 만약 이 아파트가 2년이 지나 시세가 상승하여

3억 6천만원에 팔게 된다면,

6천만원의 시세차익을 얻게 됩니다.

 

그럼 ROE와 ROA는 얼마가 될까요?

 

ROE = ( 6000 / 12000 ) * 100 = 50%

ROA = ( 6000 / 30000) * 100 = 20%

가 되는 것입니다.

 

배당모아유럽가자 - 레버리지

즉, 재무레버리지를 얼마나 사용했느냐는 말과 같습니다.

또 영어네요..

알고 가야겠죠..?

※ Leverage : 영향력 , 지렛대 사용, 지렛대의 힘

※ Leverage Effect : 타인자본을 이용한 자기자본이익률의 상승효과

재무 레버리지는 다음번에

제대로 공부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적으로 ROA는 전체자산(자본 + 부채)을 이용하여

얼마나 벌었느냐를 보는 지표입니다.

순수 내 자본(현금)을 이용하여 얼마를 벌었냐는 보는 ROE와는

엄연히 틀립니다.

 

흔히들

ROE는 수익성을,

ROA는 효율성을

볼수 있는 지표라고 합니다.

 

 

자기자본이 거의 없는 기업이 과도하게 빚을 내어

면 약간의 수익이 발생해도 ROE가 높게 왜곡되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투자를 할 때 두가지 지표를 비교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ROA보다 ROE가 현저하게 높다는 것은 기업의 부채가 많다는 뜻이랍니다.

즉, 재무건전성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 한다고 하니깐 투자에 참고하세요!!

 

오늘은 ROA에 대해 정리를 해봤는데요.

이게 정리를 하면서 공부하니깐

머리에 더 잘 남는 기분입니다.

 

다음에는 EPS 대해 공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족한 것이 많지만 알아갈 때 마다

조금씩 조금씩 업데이트 할 생각입니다.

혹시 틀린점이 있다면 가차없는 채찍질 부탁드립니다^^

 

 

 

 

배당모아유럽에서 만나요!

 

 

 

배당모아유럽가자 - 흙수저탈출!!

[배당모아유럽가자/재무재표] - 재무재표공부하기 - ROE

[배당모아유럽가자/한국] - 한국주식평생적금 - 삼성전자

[배당모아유럽가자/미국] - 미국주식평생적금 - 미국포트폴리오